대중교통 혜택의 혁신 K패스
2024년, 대중교통비 부담을 대폭 완화할 수 있는 K-패스(K-PASS)가 등장합니다. K패스 교통카드 신청방법과 누리집 주소, 신규 발급 및 기존 알뜰교통카드 회원 전환방법, 혜택과 환급금에 대해 알아보고, 다른 교통카드와도 비교해보겠습니다.


K패스 교통카드란?
K패스(K-패스) 국토교통부에서 2024년 5월부터 시행하는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사업으로, 이동거리 기준이 아닌 지출액의 정률 적립 방식을 사용하는 교통카드입니다. 최소 요건을 달성한 경우 다음 달에 현금으로 직접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.
K패스 혜택
- 월 15회 이상 이용 시 마일리지 적립 최대 60회까지 가능
- 시내버스 / 지하철 / 광역버스 / 민자철도 등 교통카드를 사용하는 대중교통 수단에 적용되며, 전국단위로 호환
- 사용 다음 달에 이용자에게 직접 환급되며, 현금 / 마일리지 / 카드공제 등으로 환급됨
유형별 적립률
K패스는 일반 / 청소년 / 저소득층 별 적립률이 다릅니다. 청년은 청년 기본법에 따른 만 19세에서 34세를 의미하며, 저소득층은 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을 의미합니다.
K-패스 | 적립률 | 예)1,500원 기준 |
일반 | 20% | 300원 |
청년 | 30% | 450원 |
저소득 | 53% | 800원 |
K패스 신청방법
1. 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용자
알뜰교통카드 사용자는 별도의 카드 재발급 없이 K-패스로 회원 전환할 수 있습니다.
K패스 전환신청방법




자료출처 : 국토교통부
- 알뜰교통카드 앱 또는 누리집에서 배너를 클릭합니다. 앱에서는 4월 30일까지, 누리집에서는 6월 30일까지 전환신청이 가능합니다.
- 카드번호와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합니다.
- 이용약관에 동의합니다.
- K패스 회원전환 완료 메시지를 확인하면 전환이 완료됩니다.
✔ 전환완료하기 전에는 K패스 환급혜택을 받을 수 없으니 꼭 미리 전환하시기 바랍니다!
2. 신규가입자
신규가입자는 K패스 협업 카드사 11곳에서 발급 받으실 수 있습니다. 클릭하시면 각 카드사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.
위 카드사를 통해 카드를 발급받은 뒤, K패스 누리집에서 신규회원 절차를 거쳐야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. 카드만 발급받은 경우 혜택이 바로 적용되지않으니 꼭 아래 K패스 누리집을 방문하세요!
K패스 누리집
신규 사업이다 보니 공식 홈페이지를 찾기 어려워하는 분들이 많습니다. K패스 누리집 주소는 https://korea-pass.kr/ 입니다.
K패스와 알뜰교통카드 비교
구분 | K패스 | 알뜰교통카드 |
---|---|---|
혜택 | – 월 15회 이상 이용 시 지출 금액의 일정 비율 환급 (일반인 20%, 청년층 30%, 저소득층 53%) – 도보, 자전거 이용 시 마일리지 적립 (1km당 1원) – 다양한 제휴 할인 혜택 제공 | – 이동 거리 기준 마일리지 적립 (1km당 0.5원) – 일부 제휴 할인 혜택 제공 |
사용처 | – 거의 모든 대중교통 (버스, 지하철, 광역버스, GTX 등) – 편의점, 택시, 주차장 등 일부 상점 | – 대부분의 시내버스, 지하철 |
환급/마일리지 사용 | – 다음 달 교통카드 자동 충전 또는 현금 환급 – 마일리지 적립은 앱 또는 웹사이트에서 확인 가능 | – 마일리지 적립은 앱 또는 웹사이트에서 확인 가능 – 마일리지는 다음 달 이용 가능 |
발급방법 | – 기존 알뜰교통카드 소지자는 별도 절차 없이 자동 전환 – 신규 이용자는 K패스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, 카드사에서 신청 가능 | – 대부분의 카드사에서 발급 가능 |
기타 | –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, 버스/지하철 도착 알림 등 부가 서비스 제공 | – 일부 카드사에서 부가 서비스 제공 |
K패스는 알뜰교통카드보다 더 높은 환급률, 더 많은 이용 가능한 교통, 다양한 부가 혜택을 제공합니다. 대중교통 및 자전거 이용을 즐겨하는 경우 KPASS 사용을 추천합니다.
교통카드 더보기
기후동행카드
더 경기패스
인천 I 패스
함께보면 좋은 글